본문 바로가기

건강

독감 예방접종 지정병원찾기/사전예약/무료접종 대상자/접종비용

반응형

코로나19와 동시 유행을 막기 위해 인플루엔자 독감 예방 접종 실시합니다. 무료접종 대상자 접종 일정과 65세 이상 어르신 사전예약, 예방접종 지정병원 찾는 방법, 등  자세히 적어보았습니다.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독감-예방접종-지정병원/무료대상/사전예약홈페이지
독감 예방접종 지정병원/무료대상/사전예약홈페이지

  

 -  목 차  -

 

1. 독감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 / 접종 비용

2. 65세 이상 어르신 독감 사전예약 일정/ 접종시기

3. 독감 예방접종 사전예약 홈페이지

4. 독감 예방주사 전화예약/방문예약

5. 독감 접종 병원 찾기

6. 코로나 백신과 독감 백신 같이 맞아도 될까?

7.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 상황

8. 인플루엔자 백신 부작용과 피해보상

 

독감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

 

 

독감접종 무료 대상자는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으로 1460만 명입니다.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느 곳에서나 독감 4가 백신을 무료 접종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임산부, 유료 접종의 경우는 예약은 안되고 당일 선착순으로  접종할 수 있습니다.

하루 접종 인원 제한에 따라 인원이 많은 경우 당일 접종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어린이>

 생후 6개월 ~ 13세 어린이('08.1.1~'21.8.31 출생) 

1회 접종대상자(과거 독감 2회 접종 완료한 어린이) 접종 시기는 10월 14일부터 '22년 2 월 28일까지

2회 접종 대상자 접종시기는 9월 14일부터 '22년 4월 30일까지

 

준비물은 아기수첩, 학생증, 주민등록등본

접종 장소는 위탁의료기관.

 

<임산부>

산모수첩을 통해 임신 여부를 확인한 임신부

접종시기는 9월 1일부터 '22년 4월 30일까지

준비물은 산모수첩, 신분증

접종 장소는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

 

<어르신>

만 65세 이상 어르신

11월까지 사전예약으로 예약 후 접종하고 12월부터 2월까지 사전예약 없이 접종. 

접종장소는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

 

< 유료 접종 시 접종 비용>

 

유료 접종의 경우 4가 백신으로만 진행합니다.

접종 비용은 일반 병원 4만 원, 가족보건 의원 28,000원입니다.

 

65세 이상 어르신 독감 사전예약 

 

 

< 65세 이상 어르신 사전예약 일정과 접종시기>

 

1. 만 75세 이상 (1946.12.31 이전 출생자)

   - 사전예약 : 10.5(화) 오후 8시 ~ 11.30(화) 오후 6시

   - 접종기간 : 10.12(화) ~11.30(화)

 

2. 만 70세 ~ 74세 (1947.1.1~1951.12.31 출생) 

   - 사전예약 : 10.12(화) 오후 8시 ~ 11.30(화) 오후 6시

   - 접종기간 : 10.18(화) ~11.30(화)

 

3. 만 65세 ~ 69세 (1952.1.1~1956.12.31 출생) 

   - 사전예약 : 10.14(목) 오후 8시 ~ 11.30(화) 오후 6시

   - 접종기간 : 10.21(목) ~11.30(화)

 

※ 만 65세 이상만 사전예약 대상입니다.

 

접종기간은 11월 30일까지는 사전예약으로 접종하는 기간이며, 12월 1일부터 22년 2월 28일까지는 사전예약 없이 접종할 수 있습니다

 

※ 65세 이상 독감 예방접종 기관

 10월 12일부터 위탁의료기관(지정된 동네 병 의원) 및 보건소에서 접종합니다. 이때 주소지와 관계없이 접종할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사전예약 신청 홈페이지

 

 

기존에 코로나 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을 이용하여 독감 인플루엔자 예약도 합니다

 

예약을 위해서는 예약자 본인인증을 필수로 거쳐야 합니다. 

 

65세 이상 어르신 독감 예방접종 예약 시 본인뿐 아니라 자녀 등이 대리예약할 수도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사전예약 홈페이지에서 독감 사전 예약합니다.

 

http://ncvr.kdca.go.kr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ncvr.kdca.go.kr

 

독감 예방접종 전화예약 / 방문예약

 

<독감 예방접종 전화예약 >

독감 예방접종 신청 콜센터를 통해 전화예약도 가능합니다.

1339 콜센터 또는 지자체 콜센터를 이용합니다.

추진단은 전화예약 시 통화량 증가로 연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하며, 자녀가 PC 또는 모바일앱을 통해 온라인 사전예약 진행하기를 권장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방문예약>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예약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 시 준비물은 신분증, 본인 명의 휴대전화를 지참합니다.

 

※ 일부 도서  벽지 지역은 자자체 분산 접종 계획에 따라 사전예약 없이 보건소나 보건지소에서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독감 무료 예방접종 병원 찾는 방법

 

 

독감 예방접종 지정병원을 찾기 위해서는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또는

모바일앱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에서 의료기관 검색해 볼 수 있습니다.

 

병원 검색 후 확인 전화 후 방문하세요 

 

예방접종 도우미 홈페이지

nip.kdca.go.kr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nip.kdca.go.kr

 

 

< 독감 예방접종 병원 찾기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홈페이지를 핸드폰으로 검색해보았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
예방접종 도우미

화면 상단 중앙에 배너 중에 <21-22 절기 인플루엔자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클릭합니다.

 

배너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다른 화면이 나온다면 잠시 기다려보세요

 

 

인플루엔자-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지정 의료기관>입니다.

 

어린이 국가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 인플루엔자 지정의료기관 / B형 간염 /어르신 폐렴

네 가지 중 두 번째에 있는 <인플루엔자 지정 의료기관>을 클릭합니다.

 

대상에 따라 어린이/ 어르신/ 임신부/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구분됩니다.

지정병원을 찾고자 하는 접종 대상을 선택합니다.

 

 

지정의료기관 찾기
지정의료기관 찾기

 

지역 (시/도,  시/군/구, 읍/면/동)  또는 기관명 입력하고 <검색> 클릭합니다.

지역으로 검색을 해보니 지정 의료기관 목록이 나옵니다.

병/의원명  전화번호 주소가 나오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지정의료기관 방문 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 백신과 독감 예방주사를 같이 맞아도 되나요?

 

전문가들 답은 '네'입니다. 둘 다 맞는 게 좋다고 합니다.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독감)는 중상만으로는 구분하기가 어려우며, 원인 바이러스 종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코로나 백신 맞았다고 인플루엔자 예방되는 것 아니고, 인플루엔자 백신 맞았다고 코로나 예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거리두기 단계도 단계적 일상 회복 위드 코로나를 향해 조정이 될 예정입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래도 인플루엔자 유행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접종이 필요하다는 권고입니다.

 

그렇다면 둘 다 맞는다고 보고 접종 간격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코로나 백신과 인플루엔자를 비롯한 다른 질환에 대한 백신을 같이 맞아도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질병관리청에서도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간격에 제한이 없이 같은 날 접종받는 것도 가능하다고 안내합니다.

 

안내사항은 이렇지만 접종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염려될 수도 있겠습니다. 본인 몸 상태가 좋지 않고 접종 간격을 두기 원한다면 2주 간격으로 접종할 수도 있으며, 의료진과 상의하여 결정하면 됩니다.

 

독감(인플루엔자)은 A형, B형 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따라서 독감은 예방백신을 맞으면 예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감기는 인플루엔자와 달라 독감 예방접종했더라도 무관하게 걸립니다.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 상황

올해 인플루엔자 백신은 전 국민의 52% 수준인 약 2680만 도즈가 식약처 국가출하승인을 거쳐 공급되고 있습니다.

국가 무료 예방 접종 대상은 1460만 명이고, 그중 65세 이상 어르신 접종 물량은 정부가 구매하여 의료기관으로 공급합니다

어린이와 임신부에 접종하는 백신은 의료기관에 자체적으로 구매하여 접종합니다.

 

인플루엔자 백신 부작용과 피해보상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부작용은 적은 편으로 2011년부터 2020년 9월까지 10년간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위원회가 심의한 독감백신 심의 건수는 154건이었습니다. 그중 인과관계가 인정되어 보상 진행된 것은 35건만 해당됩니다.

 

피해보상 이상반응으로는 길랭-바래 증후군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 이름도 낯선 길랭-바레 증후군 증상으로는 근육 쇠약과 마비 증상입니다. 접종 2~3일 후 호흡기 감염 증상이 나타나고 신경염 발생하여 10일~14일 후 근력 감퇴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부작용을 겪는 사람은 매년 10만 명 중 한 명꼴로 나타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