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약으로 착각하여 다른 약을 눈에 잘못 넣은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거리의 사물이 잘 안 보이는 근거리 시력저하가 나타나는 50대 이상에서 주로 일어난다고 합니다. 안약 오인 안전사고는 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점안 사고자, 오인 사고 품목, 소비자원 권고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안약 오인 점안사고자
최근 3년간 소비자 위해 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 사고 건수가 152건이었다고 합니다. 오인 사고 일어나는 대상은 60대 이상이 50%(76건), 50대 22.4%(34건), 40대 10.5%(16건) 순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50대 이상에서는 가까운 곳이 잘 안 보이고 시야가 흐려지기 시작합니다. 50대 이상이 안약 오인 점안 사고의 전체 72.4%입니다.
안약 착각 품목
그럼 안약인 줄 착각해서 눈에 잘 못 넣는 것은 주로 어떤 걸까요?
1위가 무좀약이라고 합니다. 세상에나 눈에 무좀약을 놓고 얼마나 놀랐을까요?
2위도 비슷합니다. 피부질환에 바르는 약이라고 합니다.
3위가 순간접착제입니다.
세 가지 모두 눈에 넣으면 큰일이네요 특히 순간접착제는 심각한 문제가 예상됩니다. 바로 응급처방을 해야 할 것입니다.
소비자원 권고사항
TV광고에서 눈이 흐릿한 중년부부가 춘천을 가자고 출발했다가 도착지 설정을 잘 못하는 바람에 순천까지 가는 광고가 있었는데요 50대 이상인 분들 중에 공감하는 분들이 많았을 겁니다. 안약 착각 점안 사고도 같은 원인으로 일어나는 일일 겁니다.
그리고 안약 용기와 오인 품목들의 용기가 다소 비슷하고 함께 보관하였다가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점안 사고 발생에 따라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이 사고 예방하도록 당부하며, 무좀약 회사에는 소비자가 착각하여 안약으로 잘 못 아는 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품 케이스 변경을 권유했다고 합니다.
맺음말
사고 당사자가 아니면 어이없는 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당사자는 케이스를 봐도 분간이 잘 안 되는 시력이라면 너무나 불편할 것 같습니다. 안약 착각 점안 사고자, 사고 품목, 소비자원 권고사항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부디 눈처럼 오용으로 인한 위험이 따르는 곳에 사용한다면 사용 전 다시 한번 확인하거나 보관을 따로 하여 안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7세 청소년, 임산부 4분기 백신 접종 (0) | 2021.08.31 |
---|---|
힐링 관광지 4곳 추천/서귀포 치유의 숲/취다선/파크로쉬/뮤지엄산 (0) | 2021.08.26 |
보이차 알아보기 (종류, 마시는 법) (0) | 2021.08.21 |
거리두기 4단계 사적모임 4인/ 9시까지 영업/백신인센티브 (0) | 2021.08.21 |
땅콩버터 영양소 / 장점/섭취 시 주의사항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