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 한국의 갯벌 등록

반응형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중 자연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반려되었다가 재도전하여 등재된 이야기와 한국의 이미 등재된 유네스코 문화유산들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갯벌-유네스코 자연유산 등재

 

한국의 갯벌 - 유네스코 세계유산 반려, 재도전

 

2021년 5월 세계자연유산 자문 심사기구인 세계 자연보전 연맹(IUCN)으로부터 한국의 갯벌은 반려(Defer) 권고를 받았습니다. 세계유산 평가 단계는 등재, 보류, 반려, 등재불가 네 개의 단계로 분류되는데 이때는 세 번째 단계였던 것입니다.

 

한국의 갯벌이 '반려'를 받은 이유는 신안 갯벌 외에 규모가 넓지 못하고,  생물 다양성 측면에서 핵심지역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과 세계유산을 둘러싼 완충지역이 충분하지 않음으로 반려를 내련 것입니다. 

 

한국정부는 철회하지 않고 재도전합니다. 21개 위원국을 적극적을 설득하며 앞으로 유산 구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동아시아 대양주 철세이동 경로 파트너십'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등도 함께 지지에 나섰습니다 

 

한국의 갯벌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세계유산위원회(WHC)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곳입니다. WHC는 2021년 7월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과 병행해 진행한 제44차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한국의 갯벌을 자연유산으로 등재하는데 합의했습니다.

자연유산으로 한국에서 처음 등재된 곳은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며 14년 만에 두 번째 등재되었습니다.

 

갯벌이라고 하면 우리도 가본적도 있고 방송으로 보기도 합니다. 참 무식한 소견이지만 독보적이거나 화려하거나 웅장하지도 않은 것 같은데, 유네스코 자연유산에 등재되었으니 어떤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만장일치로 등재될 수 있던 걸까 궁금했습니다.

 

세계유산 위원회는 한국 개벌에 대한 평가로 "지구 생물 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서 가치가 크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된다"라고 했습니다.

 

세계유산 등재 기준은 10개이며 이 중 4개를 자연유산에 적용합니다. 그 중 하나라도  부합하면 세계유산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한국의 갯벌은 이 중 " 보편적 가치가 탁월하고 현재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의 현장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가 큰 자연식 지를 포괄한다"는 부분을 충족했습니다.

 

신안 갯벌 위치 지도로도 확인하세요

 

한국의 갯벌

 

이번에 등재된 '한국의 갯벌'은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 순천 4군데 갯벌을 묶은 것으로 신안 갯벌이 1,100k㎡으로 가장 넓고, 다른 3곳은 각 60k㎡ 내외입니다.

습지 보호지역이고, 일부는 람사르 습지입니다.

 

이곳은 멸종위기종 철새 22종, 해안 무척추동물 5종, 고유종 47종, 등 생물 2,150종이 살아가는 진귀한 생물종의 보고입니다. 멸종위기종으로는 검은 머리 물떼새, 홍새, 흑두루미, 작은 돌고래인 상쾡이 등이 있습니다.

이곳은 지리적으로도 중요한 곳인데요 동아시아와 대양주 철새 이동로에서 핵심 기착지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들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유산은 총 15건입니다.

석굴암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수원 화성

경주 역사 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남한산성

백제 역사 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한국의 서원

 

중국, 북한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북한에 있는 것은 고구려 고분군과 개성 역사유적지구가 있습니다.

중국에는  동북지방 일대 고대 고구려 수도와 묘지입니다.

합치면 한민족 관련 세계유산은 총 18건입니다

 

추가 등재를 준비 중인 것들

 

2022년 추가 등재를 위해 준비 중인 것들이 있습니다.

김해 대성동

함안 말이산

함천 옥천

고령 지산동

고성 송학동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창녕 교통과 송현동 등 가야 고분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

 

잎으로

한국의 갯벌은 세계에서 인정한 갯벌인 만큼 지켜나가야겠습니다.

반응형